타입스크립트 썸네일형 리스트형 [ETC] as const vs const enum 정리 ✨ (+ 타입 단언) 📕 enumenum COLOR { red, blue, green} 📕as constconst COLOR = { red: 0, blue: 1, green: 2} as const;- 목적: 리터럴 타입으로 변환하여 상수값처럼 취급되서 만든다.- 사용대상: 주로 배열, 객체 등의 최소한의 변경 가능성으로 제한하고, 그 값을 리터럴 타입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된다.- 타입스크립트가 값의 타입을 더 좁게 추론하게 도와준다.- `as const`를 사용하면 값 자체를 리터럴 타입으로 취급하여, 상수로서 값이 변경되지 않음을 보장한다.- 배열, 객체에 적용할 때 읽기 전용(readonly) 속성을 부여하고, 그 값을 구체적인 리터럴 타입을 변환한다. - 두 경우 모두 IDE 자동완성 기능을 활.. 더보기 이전 1 다음